MapleStory, a Korean online game that debuted in 2002, was a cultural phenomenon among teenagers of the time. Its immense popularity captured the hearts of a generation. Over the years, the game underwent significant changes, culminating in the iconic 2010 update known as the “Big Bang Patch.” This update drastically redefined the game’s aesthetic, mechanics, and world maps. The current MapleStory, compared to its past version, is essentially a completely different game that shares only its name. Yet, the pre-Big Bang MapleStory still resonates in the memories of many players, deeply rooted in nostalgia.
The goal of the project is to wander through the old MapleStory environment in search of type specimens, and infuse them with my own personal impressions from the past.
Why undertake such a project? Firstly, it’s rooted in my own childhood memories of countless hours spent playing MapleStory. Secondly, I wanted to explore whether the aesthetics of this iconic game resonate with the objects we remember from that time, or if they exist in a completely detached realm. Growing up in a country with unparalleled internet accessibility is a vastly different experience from childhoods elsewhere. If I can discover real-world memories within a 2D game, perhaps MapleStory’s aesthetic transcends mere commercial appeal and stands as a reflection of a specific cultural and artistic moment in time.
Of course, I understand that this project is highly experimental and personal. Regardless of the outcome, if my impressions bring you even a small sense of enjoyment, I will consider it a success. Let’s dive in and see how much of my memories are hidden within MapleStory.
메이플스토리는 2002년에 시작된 한국 게임 타이틀입니다. 당시 십대들 사이에서의 인기는 엄청났습니다. 시간이 지나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게임 자체도 여러 변화를 겪었고, 그러던 중 2010년에 상징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른바 “빅뱅 패치”는 게임의 미학, 메커니즘, 맵을 포함하여 게임의 근본을 바꿔놓았습니다. 현재의 메이플스토리 는 과거와 비교해서 이름만 같을 뿐 실상 다른 게임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로 바뀌었습니다. 하지만, 빅뱅 패치 전 메이플 스토리는 아직도 많은 유저들에게 추억과 같이 남아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빅뱅 전 메이플 스토리를 표방한, 메이플 월드라는 유즈맵에서 type specimen을 찾아다니고, 그것들에게서 저의 개인적인 과거의 인상들을 불어넣는 것입니다. 이런 프로젝트를 하고자 한 이유는, 첫번째, 어린시절 제가 실제로 메이플 스토리를 자주 하던 기억이 있기 때문입니다. 두번째 이유는, 당시에 가장 인기있던 게임의 미학이 우리의 과거 기억 속에 있는 여러가지 소품들의 미학과 어울리는지, 아니면 완전히 동떨어진 것인지 알아보기 위함이기도 합니다. 인터넷 접근성이 아주 뛰어난 나라에서 어린시절을 보내는 것은 그렇지 않은 나라에서 어린시절을 보내는 것과 완전히 다른 일이기 때문입니다. 실제 기억속의 물품들을 2D 게임세계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면, 메이플스토리의 미학 자체는 그저 상업적 게임에 불과하지 않고, 그 시절을 대표하는 하나의 예술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제가 지금 하고있는게 아주 실험적이고 개인적인 프로젝트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성과와 상관 없이, 제 개인적인 인상들을 보고, 여러분들이 조금이나마 즐거움을 느끼셨다면, 그걸로 된거라고 생각합니다.
자 이제, 우리의 실제 기억들이 메이플스토리에 얼마나 녹아있는지 확인해 봅시다.
About the Author: Geonwoo Kim 김건우
Born and raised in Seoul, Korea, Geonwoo is currently pursuing a degree in Computer Game Design at Mason Korea. With a deep passion for classical music and old films, Geonwoo finds inspiration in all forms of aesthetics. This Fall semester of 2024 marked his first contact to typography, an experience led to a deeply personal and fulfilling project.
View the Project:
Wander Type: Pixels Remember